안전경영
KET는 산업재해 제로를 목표로 안전하게 근무할 수 있는 사업장 구축에 주력하고 있습니다.
목표 및 전략
전사 안전보건 목표
안전보건법규 위반건수 ZERO화
법규위반 건수 ZERO화 유지
사건/사고 발생 최소화
사고발생의 원인 차단 활동 강화
각 사업장 자율안전 문화 정책 및 유지
법규위반 건수 ZERO화 유지
부문별 핵심 전략
사무 추진 전략
안전, 보건법규 준수(위반건수 ZERO)
- 중대재해처벌법 준수의무사항 이행 실태 점검
- 산업안전보건법 교차점검
비상대응 체계구축
- 부서별 응급처치 요원양성, 비상사태 훈련 실시
- 산업안전보건법 교차점검
생산 추진 전략
안전, 보건법규 준수(위반건수 ZERO)
- 중대재해처벌법 준수의무사항 이행 실태 점검
- 산업안전보건법 현장안전관리 중점 교차점검
산업재해 발생 ZERO
- 끼임사고 발생 예방 점검활동, 기계설비 점검 및 수리이력 LOTO장치 활성화 현황점검
연구개발 추진 전략
안전, 보건법규 준수(위반건수 ZERO)
- 중대재해처벌법 준수의무사항 이행 실태 점검
-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교차점검
연구실 안전환경 조성
- 연구실 일상 점검일지, 연구실 정기안전 점검
Plan
당해 성과분석 및 개선대책 검토
전사 성과지표 추진 실적 및 미달성 시 대책 보고
차년도 안전보건 관리 추진 및 방향 설정
경영검토자료
이해관계자의 요구와 기대
리스크 평가 및 기획 파악
Do
안전보건 목표 및 프로세스 수립
부서 및 전사 추진 계획 목표 수립 운영
안전보건 기획 결정 및 리스크 평가
위험성 평가
안전보건 법규 파악
안전보건 11개 법규등록 운영
Act
성과측정 및 모니터링
전사 성과지표 추진 실적 및 미달성 시 대책 보고
준수평가 부적합 시정조치 기록관리 내부심사 및 사후심사 순회/대행/부서 자체 점검활동Check
자원, 역할, 책임, 의무 및 권한
업무조직도 및 분장표
적격성, 교육훈련 및 인식
- KQIS 자격인증 관리
- 안전보건관련 집체 교육 실시
안전보건경영시스템 문서화
절차서 10개, 규칙 31개 (EP 등록 운영 중)
문서/운영관리주요 활동
중대재해 대응
- 중대재해 규칙 명문화
- 대응 절차 수립
- 정기적 점검 실시
안전 위험성 평가
- 연 2회 정기 위험성 평가
- 유형별 잠재적 위험요소 발굴
- 위험요소 즉각 개선 조치
비상사태 매뉴얼 제정 및 대응체계 유지
- 비상사태 대응 메뉴얼 제정
- 팀 단위 비상 대응 체계
- 재발 방지 대책 수립
안전보건 교육 시행
- AED 사용방법 교육
- 밀폐공간 질식 예방교육
- 소음성 난청 교육
- 유해화학물질 교육 등
임직원 건강 관리
- 사업장 작업환경 측정 개선
- 안전보호구 및 의약품 구비
- 보건 대행기관을 통한 심리건강 지원
안전관리대행 정기 점검
- 외부기관을 통한 사업장 안전관리 점검
- 위험요소 즉시 개선 진행
안전보건경영 시스템
2024년 국내외 사업장 ISO 45001 인증현황
구분 | 대상 | 인증사업장 |
---|---|---|
국내 | 6 | 6 |
해외 | 6 | 1 |
합계 | 12 | 7 |